윤석남-건망증 또는, 악몽을 건너는 이야기, 월간미술, 1996.07
백지숙, “윤석남-건망증 또는, 악몽을 건너는 이야기”, 《월간미술》, 1996년 7월호. pp. 82-89.
윤석남-건망증 또는, 악몽을 건너는 이야기, 월간미술, 1996.07 Read Post »
백지숙, “윤석남-건망증 또는, 악몽을 건너는 이야기”, 《월간미술》, 1996년 7월호. pp. 82-89.
윤석남-건망증 또는, 악몽을 건너는 이야기, 월간미술, 1996.07 Read Post »
곽노경, “어머니의 恨과 사랑, 가슴으로 설치한 페미니즘 작가 윤석남 씨의 ‘어머니 만들기’”, 《오늘의 한국》, 1996년 5월호, pp. 72-75.
윤석남 씨의 ‘어머니 만들기’, 《오늘의 한국》, 1996년 5월 Read Post »
“대관령박물관 개관 4주년 기념-윤석남 초대전 ‘어머니의 눈’”, 강원일보, 1996. 5. 15.
대관령박물관개관4주년기념-윤석남초대전,강원일보, 1996.5.15 Read Post »
주미영, “‘어머니’에서 출발, ‘나’를 찾는 작업으로-여성미술가 윤석남”, 《marie claire》, 1996년 2월호, No.36, pp. 340-343.
“여성미술가 윤석남”, 《marie claire》, 1996년2월 Read Post »
” Letzte Relikte einer Häutung”, tageszeitung taz 1995.12.12.
tageszeitung taz 1995.12.12. Read Post »
류숙렬, “[한국의 여성] 화가 윤석남과 사진작가 박영숙”, 《현대백화점》, 1995년 6월호, No.112, pp. 8-9.
“화가 윤석남과 사진작가 박영숙”, 《현대백화점》 1995년6월 Read Post »
엄혁, “[작가론] 여성 윤석남의 눈빛”, 《가나아트》, 1994년 7월호. pp. 104-111.
여성 윤석남의 눈빛, 《가나아트》 1994.07 Read Post »
조혜정, “미술에 있어서 페미니즘 운동-여성, 그 다름과 힘展”, 《미술광장》, 1994년 5월호. pp. 41-48.
미술에 있어서 페미니즘 운동-여성, 그 다름과 힘展, 1994.05 Read Post »
이주헌, “여성주의 미술 가능성 타진-‘페미니즘전 첫발’ 기치 여성작가 19인 참가”, 《한겨레21》, 1994년 4월 제3호, pp. 86-87.
《한겨레21》, 1994년 4월 제3호, pp. 86-87. Read Post »
김현숙, “힘으로 채운 ‘화폭의 절반’-페미니즘 미술전 〈여성, 그 다름과 힘〉”, 《시사저널》, 1994년 4월 제233호, pp. 92-94.
《시사저널》, 1994년 4월 제233호, pp. 92-94. Read Post »
엘리스 양, “[특별기고] 미국에서 한국미술 정체성 찾기”, 《월간미술》, 1994년 4월호. pp. 102-107.
미국에서 한국미술 정체성 찾기, 《월간미술》 1994.04 Read Post »